김천시 (1996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시 (1996년 선거구)는 1995년 김천시와 금릉군 통합 이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천시·금릉군 선거구에서 개편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김천시 전역을 관할했으며, 보수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여왔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임인배, 이철우, 송언석 등이 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의 선거 결과를 상세히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선거구 - 포항시 북구 (선거구)
포항시 북구 선거구는 1995년 포항시와 영일군의 통합으로 신설되어 포항시 북구 전역을 관할하며 보수정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고 무소속 허화평, 자유민주연합 박태준, 한나라당/새누리당 이병석, 현재 국민의힘 김정재가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경상북도의 선거구 - 영천시·청도군
영천시·청도군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영천시와 청도군 전역을 관할하고, 이만희가 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김천시의 정치 - 김천시장 선거
김천시장 선거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번 실시되었으며 박팔용, 박보생, 김충섭이 시장을 역임했다. - 김천시의 정치 - 김천시의 국회의원
김천시의 국회의원은 김천시와 금릉군의 분리 및 통합 과정에서 다양한 정당과 인물들이 김천시를 대표하여 국회에서 활동한 기록으로, 지역 정치의 변화와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 199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
청주시 상당구 선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5년 설치 이후 민주당계와 보수정당이 번갈아 의석을 차지하며 정치 상황과 지역 여론을 반영해왔다. - 199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
성남시 중원구는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시 중원구 전역을 관할하며, 조성준, 이상락, 신상진, 김미희, 윤영찬, 이수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보수와 진보 정당이 번갈아 당선되는 경합 지역이다.
김천시 (1996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김천시 선거구 정보 | |
의회 | 국회 |
지도1 | image_file: 국회선거구 김천시.svg |
큰지도 | 경상북도 |
지도연도 | 1996 |
연도 | 199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김천시·금릉군 |
의원 | 송언석 |
정당 | 국민의힘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5년 1월,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되어 통합 김천시가 출범하였다. 이에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천시·금릉군 선거구가 김천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2. 1. 선거구 역사
1995년 1월,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되면서 통합 김천시가 출범했다. 이에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천시·금릉군 선거구가 김천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2. 2.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1996년 | 신한국당 | 임인배 |
2000년 | 한나라당 | 임인배 |
2004년 | 한나라당 | 임인배 |
2008년 | 한나라당 | 이철우 |
2012년 | 새누리당 | 이철우 |
2016년 | 새누리당 | 이철우 |
2018년 | 자유한국당 | 송언석 |
2020년 | 미래통합당 | 송언석 |
2024년 | 국민의힘 | 송언석 |
김천시 전역을 관할했다.
김천시에서는 1996년 선거부터 2018년 재보궐선거까지 보수 정당 후보(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가 연이어 당선되었다. 이후 2020년과 2024년에는 보수 정당 후보(미래통합당, 국민의힘)가 당선되었다.
3. 관할 구역
4. 역대 국회의원 및 선거 결과
임인배 후보가 처음 3번의 선거에서, 이철우 후보가 그 다음 3번의 선거에서, 송언석 후보가 가장 최근 3번의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4. 1. 역대 국회의원
4. 2.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제15대 총선 | 임인배 | 신한국당 | 45.23 | |
제16대 총선 | 임인배 | 한나라당 | 75.36 | 재선 |
제17대 총선 | 임인배 | 한나라당 | 62.20 | 3선 |
제18대 총선 | 이철우 | 한나라당 | 53.37 | |
제19대 총선 | 이철우 | 새누리당 | 83.45 | 재선 |
제20대 총선 | 이철우 | 새누리당 | 64.25 | 3선 |
2018년 재보선 | 송언석 | 자유한국당 | 50.31 | |
제21대 총선 | 송언석 | 미래통합당 | 74.52 | 재선 |
제22대 총선 | 송언석 | 국민의힘 | 65.78 | 3선 |
4. 2.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국당 임인배 후보가 45.2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해창 후보는 39.02%를 얻어 임인배 후보에게 패배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신한국당 | 임인배 | 34,576 | 45.23 |
무소속 | 정해창 | 29,831 | 39.02 |
무소속 | 박영우 | 4,028 | 5.26 |
자유민주연합 | 김한선 | 3,575 | 4.67 |
통합민주당 | 박연옥 | 1,595 | 2.08 |
무소속 | 이병무 | 1,115 | 1.45 |
새정치국민회의 | 공부동 | 962 | 1.25 |
무소속 | 여인섭 | 456 | 0.59 |
무당파국민연합 | 조석환 | 296 | 0.38 |
합계 | 76,434 | 100 |
4. 2.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임인배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임인배 후보는 75.36%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새천년민주당 박영우 후보와 자유민주연합 김동완 후보를 크게 앞섰다.
4. 2.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임인배 후보가 62.20%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무소속 임호영 후보는 24.74%, 열린우리당 배태호 후보는 13.04%를 득표하였다.
4. 2.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철우 후보가 53.3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팔용 후보는 44.29%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다.
4. 2.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철우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철우 후보는 83.4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6.54%를 얻은 민주통합당 배영애 후보를 크게 앞섰다.
4. 2. 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철우 후보가 무소속 박판수 후보를 제치고 3선에 성공하였다. 이철우 후보는 64.25%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철우 | 새누리당 | 42,340 | 64.25% |
박판수 | 무소속 | 23,549 | 35.74% |
합계 | 65,889 | 100% |
4. 2. 7. 2018년 재보궐선거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 송언석 후보가 무소속 최대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송언석 후보는 50.31%의 득표율로, 49.68%를 득표한 최대원 후보를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
4. 2. 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서는 미래통합당 송언석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배영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미래통합당 | 송언석 | 59,993 | 74.52 |
더불어민주당 | 배영애 | 16,914 | 21.00 |
무소속 | 이상영 | 1,753 | 2.17 |
무소속 | 이성룡 | 926 | 1.15 |
국가혁명배당금당 | 박성식 | 919 | 1.14 |
합계 | 80,505 | 100.00 |
4. 2. 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 송언석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송언석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황태성 후보와 무소속 박건우 후보를 제치고 65.78%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송언석 | 국민의힘 | 51,208 | 65.78 |
황태성 | 더불어민주당 | 18,079 | 23.22 |
박건우 | 무소속 | 8,554 | 10.98 |
합계 | 77,841 | 100 | |
무효표 | 1,325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